
Q.
성범죄를 당한 피해자입니다.
소송할 상황이 되지 않아, 합의를 진행하고 싶은데
제가 먼저 연락해야 하나요?
A.
합의를 하기 위해서는 가해자가 자신의 범행에 대해 인지하고
이 죄목으로 소송을 진행하면 성범죄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껴야 합니다.
그래야 일을 키우지 않기 위해, 고소를 당하지 않기 위해
피해자에게 합의를 제안해 올 것입니다.
죄송한 말이지만, 피해자분께서 먼저 합의를 제안하신다면 오히려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 있으니
최대한 가해자가 먼저 연락하도록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가해자를 압박하기 위해서는, 여차하면 소송을 진행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이는 것이 필요하겠죠.
합의를 하실 때도 최대한 증거를 확보해 놓으셔야 합니다.
성범죄 사건이 외부에서 발생한 것이라면 인근의 CCTV나 블랙박스를 확인해 보세요.
당시 상황이 촬영된 것이 있다면, 이는 직접적인 증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피해 입증이 확실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성범죄 사건에는 이런 직접적인 증거가 남지 않을 때가 많은데요.
그럴 때는 간접적인 증거라도 최대한 확보해 주셔야 합니다.
간접적인 증거는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피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보다 정확한 증거 확보를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실 때
사건 내용을 자세히 말씀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가해자가 연락하여 사과를 하거나 사건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면
해당 내용은 가해자가 범행을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가해자에게서 연락이 없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피해자분께서 먼저 연락하여
화를 내거나 사과를 요구하며 범행 인정을 이끌어내시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이 때 가해자에게 연락의 의도를 들켜서는 안 되며,
맥락에 따라 범행을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없는 사과를 할 때가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증거를 확보해 주셨다면 피해자분께서는 다시 한 번
사건 내용에 대해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언제 어디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당시 상황에 대해 기억나는 모든 것을 작성해 두세요.
머릿속으로만 생각하고 있다면 잊어버릴 가능성도, 정리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니 꼭 작성하며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경찰 신고를 하게 된다면 피해자 역시 수사관의 조사를 받아야 합니다.
피해자분들이 피해 당시에 대한 진술을 해 주셔야 하는 것인데요.
아주 자세한 내용을 일관적으로 주장해 주시되, 모순이나 번복이 생겨서는 안 됩니다.
피해자분들은 경찰 조사를 받는다는 부담감에 준비해 뒀던, 말해야 하는 내용을 잊어 제대로 된 진술을 하지 못하실 때가 많습니다.
변호사가 경찰 조사에 동행한 상황이라면 해당 내용을 짚어 드리며 보조할 수 있지만
혼자 경찰 조사에 임하신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Q.
성범죄를 당한 피해자입니다.
소송할 상황이 되지 않아, 합의를 진행하고 싶은데
제가 먼저 연락해야 하나요?
A.
합의를 하기 위해서는 가해자가 자신의 범행에 대해 인지하고
이 죄목으로 소송을 진행하면 성범죄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껴야 합니다.
그래야 일을 키우지 않기 위해, 고소를 당하지 않기 위해
피해자에게 합의를 제안해 올 것입니다.
죄송한 말이지만, 피해자분께서 먼저 합의를 제안하신다면 오히려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 있으니
최대한 가해자가 먼저 연락하도록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가해자를 압박하기 위해서는, 여차하면 소송을 진행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이는 것이 필요하겠죠.
합의를 하실 때도 최대한 증거를 확보해 놓으셔야 합니다.
성범죄 사건이 외부에서 발생한 것이라면 인근의 CCTV나 블랙박스를 확인해 보세요.
당시 상황이 촬영된 것이 있다면, 이는 직접적인 증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피해 입증이 확실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성범죄 사건에는 이런 직접적인 증거가 남지 않을 때가 많은데요.
그럴 때는 간접적인 증거라도 최대한 확보해 주셔야 합니다.
간접적인 증거는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피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보다 정확한 증거 확보를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실 때
사건 내용을 자세히 말씀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가해자가 연락하여 사과를 하거나 사건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면
해당 내용은 가해자가 범행을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가해자에게서 연락이 없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피해자분께서 먼저 연락하여
화를 내거나 사과를 요구하며 범행 인정을 이끌어내시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이 때 가해자에게 연락의 의도를 들켜서는 안 되며,
맥락에 따라 범행을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없는 사과를 할 때가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증거를 확보해 주셨다면 피해자분께서는 다시 한 번
사건 내용에 대해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언제 어디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당시 상황에 대해 기억나는 모든 것을 작성해 두세요.
머릿속으로만 생각하고 있다면 잊어버릴 가능성도, 정리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니 꼭 작성하며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경찰 신고를 하게 된다면 피해자 역시 수사관의 조사를 받아야 합니다.
피해자분들이 피해 당시에 대한 진술을 해 주셔야 하는 것인데요.
아주 자세한 내용을 일관적으로 주장해 주시되, 모순이나 번복이 생겨서는 안 됩니다.
피해자분들은 경찰 조사를 받는다는 부담감에 준비해 뒀던, 말해야 하는 내용을 잊어 제대로 된 진술을 하지 못하실 때가 많습니다.
변호사가 경찰 조사에 동행한 상황이라면 해당 내용을 짚어 드리며 보조할 수 있지만
혼자 경찰 조사에 임하신다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